사업을 하면서 직원이 채용이 되거나 퇴사를 하면 처리해야 할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죠? 건강 보험 공단 edi 서비스 이용하면 간편하게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언제나 처리가 가능하고 공단 사무실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되니 정말 편리하니 꼭 알아두시면 좋을 거 같아요.
온라인으로 처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세무서로 직접 찾아가서 신고를 해야되니 얼마나 불편하겠습니까
그리고 건강보험은 입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꼭 확인하시어 과태료를 지불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게 좋습니다.

건강 보험 공단 edi 서비스란?
EDI는 (Electronic Data Interchange) 약자로 거래 당사자 간에 종이문서 대산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전자 문서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서 재입력 과정 없이 직접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달 방식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건강보험 관련 전산 업무를 대신 처리를 해주는 사이트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회사에서 인사를 담당하시는 분들이 건강보험 때문에 일일이 세무서를 방문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간편하게 인터넷으로 처리를 해주고 있습니다.

* 제공 서비스
- 직장가압자 자격취득, 상실 내역신고
- 보험료 산정 및 부과관련 업무 처리 가능
- 건강검진에 관한 업무 처리 가능
- 4대보험관련 공통 업무 처리 가능

처음 직원을 고용을 했거나 사업 운영을 처음 하는 경우라면 놓치기 쉬운게 건강보험과 4대보험, 건강검진 관련한 업무처리입니다.
연말정산 관련한 글도 다른 포스팅에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은 함께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처리가 늦게 되거나 놓치게 되면 원하지 않는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으니 꼭 서비스에 가입하셔서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업무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DI 서비스 가입방법
서비스 가입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 간편하게 가입이 가능합니다.
단, 1가지 준비를 하여야 하는 것은 공인인증서가 반드시 필요하니 미리 준비해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TEP 1 :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http://www.nhis.or.kr) 접속을 하시고 회원 가입을 클릭합니다.
STEP 2 : 사업장/가입 신청 버튼을 눌러서 가입을 진행합니다.
STEP 3 : 회원약관 및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에 동의함을 눌러서 확인합니다.
STEP 4 : 사업장 관리번호, 사업장 기호, 단위사업장 기호 등 사업장 내역을 입력한 후 확인하기를 눌러 진행합니다.
여기까지 진행을 하시면 회원 가입은 진행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건강보험공단 EDI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공인인증서를 등록하는 과정입니다.
STEP 5 : 웹 EDI 서비스(http://edi.nhis.or.kr) 접속해서 인증서 등록 버튼을 눌러서 진행합니다.
STEP 6 : 사업장 회원으로 가입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서 공인인증서 등록을 눌러서 진행을 하면 완료됩니다.

회원가입을 하고 공인인증서를 등록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수 있지만 그래도 세무서 한번 다녀오는 시간보다는 짧게 걸리니 한번 신청해 놓으시고 편리하게 건강보험이나 4대 보험 관련된 업무를 건강 보험 공단 edi 서비스 활용하여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로 많이 사용하는 업무는 건강보험 자격 취득신고, 자격상실신고, 피부양자 자격신고, 건강보험증 기재사항 변경 신고 등이 있습니다.
사업장에서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면 한 번쯤은 이용해야 하는 업무이므로 사용법을 미리 확인해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결론
건강 보험 공단 edi 서비스 요즘은 직접 세무서나 건강보험관리공단에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모든 업무가 처리 가능합니다.
개인사업자 분들도 언젠가는 직원을 고용할 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사용법을 알아 두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