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식 투자를 하신다면 반드시 알아야 되는 원달러환율 차트와 그래프 보는 법과 앞으로의 해외주식과 관련된 원달러환율 전망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최근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13년만에 1300원 대를 돌파를 하기도 했으며 1300원대를 유지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더 상승할 가능성이 더 많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전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 전망 우리 생활에 어떻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달러환율 차트 그래프
요즘 국내 주식 시장 투자도 많이들 하시지만 해외 주식 특히 미국 주식 투자하시는 분들이 아주 많이 늘었습니다.
그동안 원달러환율이 낮아서 주식을 매수하기 좋았다고 한다면 지금은 환율이 올라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주식을 매도를 하면 환율의 영향으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국내 시장과는 다르게 반드시 확인하고 아셔야 하는 부분이 바로 달러로 주식을 거래를 해야 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원달러환율 시세의 변동에 따라서 수익률도 크게 바뀔 수 있습니다.

원달러환율차트그래프
이런 것을 두고 환차손, 환차익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환차손 : 외화자산이 환율 변동에 의해서 손해를 본 경우
환차익 : 외화자산이 환율 변동에 의해서 이익이 발생한 경우
원달러환율 차트 그래프는 인베스팅 닷컴에서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요즘은 네이버 금융, 구글 검색으로도 간편하게 확인이 가능하니 직접 검색을 해보셔서 현재 실시간 환율을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현재(22.07.26일 기준) 환율은 꾸준히 상승하여 1,312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1,100원대를 꾸준히 유지를 하고 있었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한국도 금리를 인상하고 인플레이셔의 영향으로 최근 환율이 급격이 상승을 하였습니다.
과거 경기 침체 시 달러가 강세를 보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경제가 침체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판단하에 앞으로도 계속해서 상승할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원달러환율 전망
미국은 현재 소지자물가지수가 8% 넘게 뛰고 있으며 소비자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계속해서 인상을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1981년 12월 이후 40년 5개월만에 가장 가파르게 물가가 상승한 것입니다.
원인으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유가 급등, 식량난, 원자재 공급 부족이 상승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현재 (22.07.26)일 현재 기준금리 1.75%로 지난 6월에 기준금리를 0.75% 인상을 하면서 28년 만에 최대폭으로 인상을 하였습니다.
계속해서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기록적인 소비자물가를 잡기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FOMC 회의와 관련해서 자세하게 다룬 적이 있으니 함께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십니다.

원달러환율과 금리와 관계
테이퍼링을 이번 회의에서 공식화할 것이라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발표를 했기 때문인데요. 이는 미국은 지금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테이퍼링은 경기부양책을 축소를 하고 자산 매입 축소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테이퍼링 조치를 발표를 하였고 국내 증시는 심각한 하락장을 맞이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국내도 마찬가지로 소비자물가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을 하면서 금리를 미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꾸준히 올릴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으므로 환율또한 계속해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 외국인들이 국내 주식을 매도할 것이고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환율과 국내 금리도 상승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오늘은 원달러환율 차트 그래프 보는 방법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아래에 있는 다른 글 들도 함께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