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계산 공식 및 임금상승률 관계 알아보기

 

최근 물가가 너무 많이 오르고 있습니다. 반면에 임금은 오르지 않는데요. 물가상승률을 계산하는 공식과 임금상승률의 관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물가상승률 계산공식 썸네일

물가상승률 이란

물가는 물건의 가격이죠. 우리가 구매하는 물건이 얼마나 올랐는지 알려주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작년 물가 대비 올해 물가로 계산을 하는데 쉽게 예를 들면 작년에 볼펜이 100원이었고 올해 볼펜이 200원이라면 물가상승률은 100%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한가지 물건 가지고는 계산하지 않고 국가에서 관리하는 대표 품목이 있습니다. 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으며 가격이 올랐을 경우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그런 품목들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쌀, 휘발유, 라면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도에 따라서 가중치가 물건 마다 다릅니다. 소비가 많은 품목에 더 큰 가중치를 줍니다. 전체 품목의 가중치를 모두 합하면 100이 됩니다.




물가상승률 계산 공식

물가상승률 계산 공식을 알기 위해서는 우선 가격지수를 계산을 해야 합니다. 가격지수는 기준연도 물건 가격 대비 작년 물건 가격으로 계산이 됩니다.

가격지수 = (비교년도 물건 가격 / 기준연도 물건 가격) *100

2021년도 라면이 120원이고 2020년도 라면 가격이 100원이었다고 하면 라면의 가격지수는 120입니다.

앞서 각 물건마다 가중치가 있다고 설명을 했습니다. 라면은 자주 먹고 일상생활에 없으면 곤란하지만 볼펜의 경우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입니다. 그래서 라면의 가중치가 높고 불펜의 가중치가 낮게 설정이 됩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에 관련해서 앞서 더욱 자세하게 다룬적이 있으니 함께 살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 계산 링크

정부에서 관리하는 품목 460개는 아래의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kostat.go.kr/

소비자물가지수 = (물건1 가격지수 X 가중치 ) + (물건 2 가격지수 X 가중치) + …. / 가중치 100 

2021년 소비자물가지수 = (100*99) +(100*1) / 100 = 100

 :물건이 2가지 밖에 없다고 했을 경우 2021년 소비자 물가지수는 100 입니다.

2022년 소비자물가지수가 120이 되었다고 가정하면 물가상승률은 20%입니다.



물가상승률과 임금상승률

일반적으로 임금이 오르면 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최저 임금이 10% 오르면 물가도 10% 오를 것이라는 예상 하지만 조금 다른 양상을 보여왔습니다.

아래 그래프에서 살펴보면 최저임금이 대폭 인상된 2018년 물가상승률은 오히려 2017년 보다 폭이 줄어 줄었음을 보이고 있습니다.

여전히 물가와 임금 상승은 관련 없다 관련 있다 논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하지만 최저임금 10% 상승 시 물가는 0.4%를 넘지 않는 정도의 아주 미미한 수준이라고 결론이 났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이 가져오는 효과는 선순환 경제로 가계의 소득을 올려 소비를 올리고 이를 통해서 기업 투자와 생산이 확대되며, 다시 소득 증가로 이어지는 경제 효과가 나타납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과 계산 방법 및 품목 알아보기

Related Posts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

Back To Top